본문 바로가기

내일배움캠프/[P6-Solo.] GettingOverSparta

[TIL 24.05.31] LOD, Occlusion Culling, ClippingPlane

.

 

목   차

 


LOD 

LOD의 주요 개념

  1. 모델의 디테일 수준: 동일한 객체에 대해 여러 개의 디테일 수준을 준비합니다. 예를 들어, 가까이서 볼 때는 고해상도 모델을 사용하고, 멀리서 볼 때는 저해상도 모델을 사용합니다.
  2. 전환 거리: 객체의 디테일 수준을 변경하는 기준 거리를 설정합니다. 이 거리를 기준으로 카메라와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디테일 수준의 모델이 선택됩니다.

유니티에서 LOD 활용법

LOD 모델 준비

모델링 툴(Blender, Maya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디테일 수준의 모델을 준비합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 모델(LOD0), 중간 해상도 모델(LOD1), 저해상도 모델(LOD2)을 만듭니다.

2. LOD 그룹 생성

  1. 유니티 에디터에서 LOD를 적용할 객체를 선택합니다.
  2. 객체에 LOD Group 컴포넌트를 추가합니다. Add Component 버튼을 클릭하고 LOD Group을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3. LOD 레벨 설정

  1. LOD Group 컴포넌트를 선택하면 LOD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2. 기본적으로 LOD0, LOD1, LOD2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각 LOD 레벨에 해당하는 모델을 설정합니다.
  3. LOD0에는 고해상도 모델, LOD1에는 중간 해상도 모델, LOD2에는 저해상도 모델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할당합니다.

4. 전환 거리 설정

  1. LOD Group 컴포넌트LOD 설정 창에서 슬라이더를 움직여 각 LOD 레벨의 전환 거리를 설정합니다.
  2.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카메라와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어떤 LOD 레벨이 사용될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블랜더에서 여러 해상도의 모델을 만들어온 후 LOD 그룹은 그걸 바꿔주는 역할이다.

 

 

 

 

 


 

마무리

마무리